Posts

실컷 먹고 다이어트 가능할까… 뇌 체중조절 스위치 찾았다

Image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 뇌 속 별세포에서 지방대사 조절 원리 찾아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없이 체중 조절 확인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성상교세포의 모습. 성상교세포를 조절하면 부작용이나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 GerryShaw 뇌 속의 성상교세포( astrocyte )를 조절하면 부작용이나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속의 별모양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에서 지방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이 직접 개발한 신약인 ‘ KDS2010 ′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이 가능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다이어트의 성패를 결정짓는 핵심적인 곳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방대사 조절 기전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측시상하부 신경세포가 지방 조직으로 연결돼 지방 대사에 관여한다는 사실 정도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연구팀이 주목한 건 뇌에서 신경세포에 영양분 등을 운반하는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다. 성상교세포는 별 모양을 띠고 있어 별세포라고도 부른다. 성상교세포는 평소 뇌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뇌질환이 발생하면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고 기능도 변화한다. 이렇게 변화된 세포를 반응성 성상교세포라고 부른다. 별세포(성상교세포)의 지방 대사 조절을 보여주는 그림. 왼쪽 그림은 장기간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비만 생쥐 뇌의 측시상하부에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MAO-B ) 효소가 발현돼 지속성 가바( GABA )가 과생성된 모습이다. 가바는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지방 대사를 억제해 체중을 증가시킨다. 반면 오른쪽은 별세포의 마오비 또는  GABRA5  유전자를 억제하거나, 마오비 억제제  KDS2010  투여하면 가바 분비가 줄어  GABRA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